더튼, 4월부터 "총리 되고 싶다" 공언
호주와
0
2071
2018.08.30 06:50
비숍 부당수 "더튼 저지 위한 당권경쟁 불검토"
턴불 반대파에 장관.부장관 등 10명 포함
집권 자유당이 21일 당권 표결에서 48-35로 갈라져 턴불정부의 리더십과 노선을 놓고 깊은 분열상을 드러낸 가운데 턴불 총리에 반기를 든 의원 35명 중에는 장관과 부장관 등 프론트벤치(간부) 의원이 10명 포함된 것으로 보도됐다.
이들은 더튼 내무장관을 비롯해 스티브 치오보 통상장관, 그렉 헌트 보건장관, 마이클 키넌 휴먼서비스 장관 등 내각장관 4명과 비내각장관 3명, 부장관 3명으로 알려졌다.
이와 함께 퀸슬랜드 경찰관 출신의 비교적 인지도가 낮은 경직된 비호감형의 더튼(47) 의원은 지난 4월부터 총리가 되고 싶다고 공언하며 캠페인을 벌여온 것으로 줄리 비숍 외무장관이 지적, 비난했다. 그가 당권도전에 성공할 경우 제30대 연방총리가 되며 헌트 장관을 부당수 후보로 내세울 것으로 알려졌다.
더튼 의원이 1차 도전 실패후 조만간 재도전할 것을 사실상 예고한 가운데 더튼 의원의 내무장관직 사임에 이어 더튼을 지지한 다수의 장관 및 부장관들도 줄줄이 사임했거나 사의를 표명, 재도전 압박을 가중시키고 있다.
콘세타 피라반티-웰스 국제개발장관은 21일밤 사임하면서 성명을 통해 턴불정부 노선에 대한 불만을 부각시켰다. 그는 "우리의 보수파 기반은 그 목소리가 잠식돼 왔음을 절감한다"며 "내각 테이블에 보수의 목소리가 있다는 가시적 표시가 있어야 한다"고 주장했다.
그는 올 1월 자유당이 너무 지나치게 좌경화되고 있다는 우려를 포함한 이슈들에 대한 자신의 견해를 턴불 총리에게 표명한 바 있다고 공개했다.
더튼 의원을 지지한 후 사의를 표명한 그밖의 프론트벤치(간부) 의원들은 앨런 터지 시민권다문화장관, 앵거스 테일러 법집행장관과 마이클 수카, 제임스 맥그라스, 제드 세셀자 등 부장관들이 포함돼 있다.
턴불 총리는 더튼 지지 의원들의 사표를 수락하지 않고 이들에게 장관직 유임을 원하지만 추후 당권 재표결 시 자신을 지지해줄 것을 확실히 해주기를 바란다는 뜻을 밝혔으며 키넌 장관은 성명을 통해 턴불 지지를 선언하기도 했다.
한편 더튼 의원은 당권 표결 후 자신이 차기 선거에서 쇼튼 야당당수와 맞서는 데 더 나은 지도자라고 주장하고 핵심 관심 분야를 이민과 인프라라고 지목했으며 이민유입수 삭감 가능성을 시사했다.
그는 "쇼튼이 호주 총리가 되는 것을 확실하게 막기를 원하기 때문에 당권 표결에 나서기로 결정했다"면서 2차 당권도전과 장래 포부에 대한 거듭된 질문에 대해 자신의 포부는 쇼튼을 물리치는 것이라고 답변했다.
이날 부당수로 재선출된 비숍 장관은 더튼 의원의 재도전이 있을 경우 그의 총리직 승계를 막기 위해 당권경쟁에 나설 것이냐는 질문에 "그런 옵션을 검토하고 있지 않다"고 밝혔다.
당내 온건파로 알려진 비숍 장관은 오래 전부터 자유당의 첫 여성 지도자감으로 지목돼 왔으나 그의 대외적인 인기가 당내의 실질적인 지지로 연결되지 않아 당수 도전의 포부를 보류키로 결정한 것으로 분석되고 있다.
이해관계 상충으로 의원직상실 가능성도
부인운영 보육센터 2곳서 공공자금 560만불 받아
한편 더튼 의원은 그의 사업체 이해관계와 관련, 의원자격을 잃을 가능성이 있는 것으로 헌법 전문가들이 문제를 제기하고 있어 추후 총리가 되건 안 되건 문제의 소지를 안고 있는 것으로 지적됐다.
의회의 이해관계등록부에는 그가 부인.자녀들과 함께 RHT가족신탁의 수혜자로 등록돼 있으며 호주증권투자위원회 문서에는 이 가족신탁 소유 회사(RHT 인베스먼트)가 브리스번 북부에 아동보육센터 2곳을 소유하고 있는 것으로 나와 있다.
더튼 의원 부인이 운영하는 이곳 보육센터들은 더튼 의원이 찬성투표를 던진 개정법에 따라 올해 7월2일부터 직접 정부보조금을 받고 있어 "연방공공서비스와 직.간접의 금전적 이해관계가 있는 어떠한 사람도 의원이 될 수 없다는 헌법 44조"에 저촉될 수 있다는 지적이다.
이 문제는 의회가 연방대법원에 회부할 경우 대법원에서 결정하게 되는데 더튼 의원 대변인은 "44조 위반사항이 없다는 법률조언을 받았다"고 말했다.
페어팩스 미디어는 이들 보육센터 중 한 곳에서는 2014년부터 2018년까지 203만불,
다른 곳에서는 2010년부터 2018년까지 360만불의 연방자금을 각각 받았다는 교육부자료를 입수, 22일 공개했다.
턴불 반대파에 장관.부장관 등 10명 포함
집권 자유당이 21일 당권 표결에서 48-35로 갈라져 턴불정부의 리더십과 노선을 놓고 깊은 분열상을 드러낸 가운데 턴불 총리에 반기를 든 의원 35명 중에는 장관과 부장관 등 프론트벤치(간부) 의원이 10명 포함된 것으로 보도됐다.
이들은 더튼 내무장관을 비롯해 스티브 치오보 통상장관, 그렉 헌트 보건장관, 마이클 키넌 휴먼서비스 장관 등 내각장관 4명과 비내각장관 3명, 부장관 3명으로 알려졌다.
이와 함께 퀸슬랜드 경찰관 출신의 비교적 인지도가 낮은 경직된 비호감형의 더튼(47) 의원은 지난 4월부터 총리가 되고 싶다고 공언하며 캠페인을 벌여온 것으로 줄리 비숍 외무장관이 지적, 비난했다. 그가 당권도전에 성공할 경우 제30대 연방총리가 되며 헌트 장관을 부당수 후보로 내세울 것으로 알려졌다.
더튼 의원이 1차 도전 실패후 조만간 재도전할 것을 사실상 예고한 가운데 더튼 의원의 내무장관직 사임에 이어 더튼을 지지한 다수의 장관 및 부장관들도 줄줄이 사임했거나 사의를 표명, 재도전 압박을 가중시키고 있다.
콘세타 피라반티-웰스 국제개발장관은 21일밤 사임하면서 성명을 통해 턴불정부 노선에 대한 불만을 부각시켰다. 그는 "우리의 보수파 기반은 그 목소리가 잠식돼 왔음을 절감한다"며 "내각 테이블에 보수의 목소리가 있다는 가시적 표시가 있어야 한다"고 주장했다.
그는 올 1월 자유당이 너무 지나치게 좌경화되고 있다는 우려를 포함한 이슈들에 대한 자신의 견해를 턴불 총리에게 표명한 바 있다고 공개했다.
더튼 의원을 지지한 후 사의를 표명한 그밖의 프론트벤치(간부) 의원들은 앨런 터지 시민권다문화장관, 앵거스 테일러 법집행장관과 마이클 수카, 제임스 맥그라스, 제드 세셀자 등 부장관들이 포함돼 있다.
턴불 총리는 더튼 지지 의원들의 사표를 수락하지 않고 이들에게 장관직 유임을 원하지만 추후 당권 재표결 시 자신을 지지해줄 것을 확실히 해주기를 바란다는 뜻을 밝혔으며 키넌 장관은 성명을 통해 턴불 지지를 선언하기도 했다.
한편 더튼 의원은 당권 표결 후 자신이 차기 선거에서 쇼튼 야당당수와 맞서는 데 더 나은 지도자라고 주장하고 핵심 관심 분야를 이민과 인프라라고 지목했으며 이민유입수 삭감 가능성을 시사했다.
그는 "쇼튼이 호주 총리가 되는 것을 확실하게 막기를 원하기 때문에 당권 표결에 나서기로 결정했다"면서 2차 당권도전과 장래 포부에 대한 거듭된 질문에 대해 자신의 포부는 쇼튼을 물리치는 것이라고 답변했다.
이날 부당수로 재선출된 비숍 장관은 더튼 의원의 재도전이 있을 경우 그의 총리직 승계를 막기 위해 당권경쟁에 나설 것이냐는 질문에 "그런 옵션을 검토하고 있지 않다"고 밝혔다.
당내 온건파로 알려진 비숍 장관은 오래 전부터 자유당의 첫 여성 지도자감으로 지목돼 왔으나 그의 대외적인 인기가 당내의 실질적인 지지로 연결되지 않아 당수 도전의 포부를 보류키로 결정한 것으로 분석되고 있다.
이해관계 상충으로 의원직상실 가능성도
부인운영 보육센터 2곳서 공공자금 560만불 받아
한편 더튼 의원은 그의 사업체 이해관계와 관련, 의원자격을 잃을 가능성이 있는 것으로 헌법 전문가들이 문제를 제기하고 있어 추후 총리가 되건 안 되건 문제의 소지를 안고 있는 것으로 지적됐다.
의회의 이해관계등록부에는 그가 부인.자녀들과 함께 RHT가족신탁의 수혜자로 등록돼 있으며 호주증권투자위원회 문서에는 이 가족신탁 소유 회사(RHT 인베스먼트)가 브리스번 북부에 아동보육센터 2곳을 소유하고 있는 것으로 나와 있다.
더튼 의원 부인이 운영하는 이곳 보육센터들은 더튼 의원이 찬성투표를 던진 개정법에 따라 올해 7월2일부터 직접 정부보조금을 받고 있어 "연방공공서비스와 직.간접의 금전적 이해관계가 있는 어떠한 사람도 의원이 될 수 없다는 헌법 44조"에 저촉될 수 있다는 지적이다.
이 문제는 의회가 연방대법원에 회부할 경우 대법원에서 결정하게 되는데 더튼 의원 대변인은 "44조 위반사항이 없다는 법률조언을 받았다"고 말했다.
페어팩스 미디어는 이들 보육센터 중 한 곳에서는 2014년부터 2018년까지 203만불,
다른 곳에서는 2010년부터 2018년까지 360만불의 연방자금을 각각 받았다는 교육부자료를 입수, 22일 공개했다.